●With a false sense of urgency, an organization does have a great deal of energized action.
긴급함의 의미를 잘못 이해하는 조직도 골칫거리이다. 그들은 일거리를 자꾸 만들어내기만 할 뿐이다.
●omplacency is a disaster these days.
자기만족은 요즘 같은 때에는 재난이나 다름없다.
●What many people often see as the solution is not the solution.
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는 해결책이 실은 해결책이 아닌 경우가 많다.
●The real solution to the complacency problems is a true sense of urgency.
자기만족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책을 바라는가? 긴급함의 의미부터 이해하라.
●It is often believed that people cannot maintain a high sense of urgency over a prolonged period of time without burnout.
‘사람들은 오랫동안 ‘긴장감’을 이겨낼 수는 없다’는 믿음이 맹위를 떨쳐왔다.
●We live in an age when change is accelerating.
변화가 급물살을 타는 그런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An inwardly focused organization inevitably misses new opportunities and hazards coming from competitors, customers.
내부 지향적인 조직의 숙명은 명확하다. 새로운 기회를 파악하지 못하고, 경쟁자나 고객들로 인한 기회나 위험도 흘려보낸다.
■존 코터(John P. Kotter)존 코터는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리더십 과정을 가르치고 있는 이 분야의 내로라하는 경영구루이다. 급변하는 시대에 생존하려면 조직에 만연된 무사안일주의를 떨쳐내고, ‘긴급함(true urgency)’의 의미부터 제대로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변화 경영의 전도사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