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구글 보이스 (Google Voice) 사용

Sci/Tech

by firstlove 2009. 11. 9. 13:14

본문

계정 등록

Google Voice 계정

계정등록은 현재 Google로 부터의 초대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참고로 필자는 Google Voice(이 하, 'GV') 서비스가 언론에 소개 되고 그 다음날 voice.google.com에 초대신청을 했고 최종 초대를 받은 것은 한국시간으로 아침 6시 7/10/2009이다.

[Figure 1. Invitational Email from Google Voice]

위 그림에서와 같이 초대장에는 https security URL 링크가 포함 되어 있었고, 이 링크를 따라 들어 가니 초대신청을 했던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 할 것을 요구하는 페이지가 나왔다.
로그인을 하니 등록 진행 전에 미국내 사용자들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메시지와, 할 수 있는 일은 오로지 나갈 일 밖에 없다는 의미의 (진짜 그렇게 느꼈다!) 'Sign Out'링크만 있다.

[Figure 2. Current Availability of Google Voice]

처음에는 단순히 내 Google Account 설정에서 국가 코드를 읽어 오는지 알았다. USA로 바꿔 봤지만 변화가 없었다. 낌새가 접속 IP로 분간하는 냄새가 났다. 자 그럼 미국에서 설정을 진행 해야 한다?!
방법이 뭐가 있을까 생각 하다가 online remote desktop 이나 virtual PC demo 같은 것이 있나 찾아 봤지만 마땅치 않았다. 그렇다, 이럴때 쓰라고 있는 것이 Open Proxy 아닌가.
수 많은 proxy로 시도 하다가 결국 최종적으로 cockyproxy.com를 통해서 성공 할 수 있었다.

계정 설정

꽁수로 등록을 하다보니 반신반의 하면서 해서, 아쉽게도 처음 등록절차를 보여주는 sreenshot은 남기지 못했다.
과정은 먼저 미국내 Zip Code를 넣으라고 나오는데 이를 넣으면 GV가 보유하고 있는 해당지역의 등록가능 전화번호 리스트가 나온다. 이중에 마음에 드는 번호를 선택 하면, 그 다음으로 소유하고 있는 실재 전화기(이 하, '등록전화')의 번호를 넣으라고 나온다.
미국에서 쓰는 전화를 로밍으로 두고 있는데 Google을 쓰다보면 결정적인 순간에 유용할 때가 많다. Google App Engine 계정등록 때가 처음이었고 이번이 두번째이다.
미국내 전화번호를 입력 하면 화면에 두자리 숫자로 된 인증 코드가 나오고 'call'을 누르면 GV의 전자시스템이 전화를 직접 걸어 인증코드를 넣으라고 한다. 코드를 넣자마자 전화가 바로 끊어지고 거의 동시에 브라우져 화면에 다음의 창이 뜨고 등록을 성공적으로 마쳤음을 알려 준다.


[Figure 3. Finish Setup]

사용자 인터페이스


[Figure 4. User Interface, Google Voice]

Gmail과 흡사한 직관적이고 심플한 군더더기 없는 UI가 나타 난다. 얼마전 Google Wave 데모에서도 확인 했는데, 앞으로 Google이 생각하는 '대화'의 UI는 이런 모습으로 가는 것 같다. 좌측에는 message folder들이 나오고 Contacts가 있다.
이것은 Gmail의 그 것(주소록)과 같은 모습이다. 단지 두 주소록이 sync가 되어 있지 않아 비어 있는 초기상태 그대로 이다. Gmail에서 contacts정보를 export하여 GV쪽으로 간단히 import 된다. 단지 어렇게 하면 grouping정보가 사라지는데 이를 해결 하려면 아직 group별로 export/import 작업을 반복하는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Figure 5. Contacts, User Interface]

그 다음으로는 통화기록과 관련 있는 폴더들이 보인다. 마지막으로 Balance에는 국제전화를 위한 phone credit($0.10)이 표시 된다. credit 충전은 Google Checkout을 통해서 credit card로 가능하다. 기본 충전액은 $10이다.

사용자 설정(Settings)

  • General - Language | Time Zone | Voice Greeting | Recorded Name | ...
  • Phones - 등록 전화(번호) 관리
  • Groups - Contact Group 관리
  • Call Widgets - 홈페이지 부착용 GV 위젯 생성/관리
  • Billing - 유료 통화/요금 기록

[Figure 6. Settings, Google Voice]

사용 하기

전화 받기

이제 드디어 사용이다.
누가 GV 번호로 전화가 걸면 통화음이 길게 한 번 울리고 '삐'소리 후에 이름을 말하라는 멘트가 나온다.
이름을 말하면 GV 자동시스템이 사용자전화로 전화를 걸기 시작 한다. 이 때 등록 해 놓은 전화기로 링톤이 뜨고 전화를 받으면 연결이 된다. 전화를 받지 못하면 다시 '삐'소리 후에 메시지를 남기라고 한다. 전화 건 사람이 메시지를 남기면 이의 오디오파일이 GV의 Voicemail에 남겨지며 등록 이메일로 'New Voicemail from <전화번호> at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다음 그림에서와 같이 통지 메시지가 날아 온다

[Figure 7. Notification Email from Google Voice]

여기서 특이한 점은 VTT(Voice-to-text) 기술을 이용, 음성메시지를 text로 변환 해서 바로 내용확인이 가능하도록 메일로 알려 준다는 것이다. 이해 안 되는 부분이 있거나 음성을 직접 듣고자 원한다면 메시지에서 'Play message' 링크를 클릭 하면 GV로 접속 되서 audio파일로도 물론 확인이 가능하다.


[Figure 8. Play Message, Google Voice]

전화 걸기

GV에서 전화 걸기를 하면 곧 등록 전화로 전화가 온다. 이 때 표시되는 발신번호는 물론 GV 번호이다. 전화를 받으면 이제 부터 GV시스템이 목표하는 전화로 연결을 시도 한다. 미국내 유선전화는 모두 무료이다. 해외전화인 경우 과금기준에 따라 통화비가 나온다.
한국으로 전화 하는 경우 요금은 현재 다음과 같다(전체 리스트):
  • Korea, South - $0.03
  • Korea, South, Mobile - $0.06

문자 보내기

문자메시지는 좌측 상단의 SMS 버튼을 누르거나 Contacts에서 해당번호를 선택 하여 사용 한다.

[Figure 9. SMS Interface, Google Voice]

활용안

비지니스

대표전화번호는 하나로 두고 서브로 실제전화번호를 메핑하는 것으로 비지니스상 번호 이동이 잦거나 예상 된다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무실 위치를 어디로 옮기든 번호를 계속 유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아니라 메핑 설정을 누구의 도움도 없이 본인이 직접 할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다.
(TODO: Provides yet another channel of communication w/ customers)

로밍폰 사용자

필자가 이에 해당한다. 로밍폰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일단 받으면 비싼 roaming rate이 적용 되고, 또, 광고성 전화도 많고 해서 활용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 음성(Voice mail)의 확인도 로밍폰으로는 부담이 되니 유선전화를 사용 해서 확인 하는데, 국제전화니 이도 역시 싼 금액이 아니다. GV는 voice message확인 역시 인터넷으로 가능하게 해서 시간비용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준다.

기타

이 밖에도 좋은 활용안이 있다면 함께 공유 했으면 좋겠다.

맺는 글

마지막으로 GV의 다양한 기능들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help 페이지 링크를 남긴다.

관련글 더보기